본문 바로가기
각종 정보/경영경제

[CASE연구] 한국의 항공사 파산 사례

by 만물지식 2023. 3. 24.
반응형

한국의 항공사 파산 사례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대한항공의 파산입니다.

대한항공은 1961년에 경영상의 문제로 파산을 선언하고, 이어서 1962년에 재창립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1960년대 초반 대한항공은 수송량 증가에 따라 대규모 확장사업을 하였지만,

여객 수요의 급격한 감소와 정부의 강한 규제로 인해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한항공은 적자를 더욱 심화시켜 파산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 외에도 한국의 항공사 중에서 파산한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에어부산 

2003년 파산 후 2008년 재창립 에어부산은 2003년 파산을 선언하게 된 이유는 경영상의 문제였습니다.

에어부산은 설립 초기부터 적자를 내며 운영되어 이익을 내지 못했습니다.

이에 경영안정을 위해 파산을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후 2008년에 다시 창업하여 현재까지 운영중입니다.

2. 피아트리아 

2004년 파산 피아트리아는 대한민국 내의 지역항공사였으며,

경영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2004년 파산을 선언하게 되었습니다.

경영상의 어려움은 수송량 감소와 인건비 부담 등이 원인으로 대부분으로 분석되었습니다.

3. 이스트아시아 에어라인 (Eastar Jet)

 2021년 파산 이스트아시아 에어라인은 2021년 경영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파산을 선언하게 되었습니다.

이스트아시아 에어라인은 코로나19로 인한 여객 수요 감소와 항공료 인하 경쟁 등으로 인한 수익 감소 등이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한국의 항공사들이 파산한 경우 대부분은 경영상의 어려움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경쟁사와의 경쟁에서 밀려남과 고객수요 변화 등도 항공사 경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입니다.

 

최근에는 티웨이항공과 제주항공 등 대한민국의 저비용항공사들도 파산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4. 티웨이항공 (T'way Air)

2022년 파산 티웨이항공은 2022년 3월 경영악화로 인해 파산을 선언하게 되었습니다.

티웨이항공은 코로나19로 인한 여객 수요 감소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수익 감소 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5. 제주항공 (Jeju Air)

2021년 합병으로 인한 파산 위기 제주항공은 2021년 경영악화로 인해 합병을 검토하고 있었으나,

합병 후 신규 항공사의 규모가 커져 경영 어려움을 겪게 되어 파산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존의 신규 항공사인 미드플러스(Mid-Plains Airlines)가 인수하여 파산을 회피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항공사들의 파산 문제는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저비용 전략에서 비롯된 문제가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항공 요금 인하 경쟁으로 수익이 줄어들면서 경영악화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여객 수요 감소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한 경영환경 악화도 원인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