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76

스톡홀름 증후군 Stockholm Syndrome 스톡홀름 증후군은 피해자인 인질이 가해자인 납치범에게 감정적 동조되어 심리적 유대감을 갖게 되어 오히려 피해자가 가해자를 변호하는 심리적 현상을 의미한다. 이 현상은 납치범과 인질 간 관계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고 부부와 부모 자식 사이에도 나타나기도 한다. 이를 테면, 가정폭력을 당한 아내가 오히려 가해자인 남편을 옹호하며 '때리긴 해도 착하다', '술 먹을 때만 그렇다' 라는 말들이 그 사례다. 이 현상은 납치 같이 힘이 불균형할 때 주로 나타나게 되므로 이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을 찾는 것은 많이 어렵다. 그래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매우 힘들지만, FBI 데이터에 따르면 인질의 8%가 이 스톡홀름 증후군을 앓고 있다. 이 용어가 탄생하게 된 배경을 알아보자. 1973년도에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 2023. 1. 3.
자기 실현적 예언 Self-fulfilling prophecy 자기 실현적 예언에 대해 사회 문화시간에 잠시 스쳐 지나가듯이 들은 기억이 있다. 자기 실현적 예언이란 내가 한 예언이 맞을 거라는 집단적 또는 개인적 믿음과 기대를 가지고 있어 적어도 조금은 예측대로 이루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자기 실현적 예언은 자기 충족적 예언 또는 자성 예언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피그말리온 효과와 플라시보 효과와 비슷하게 볼 수도 있다. 이는 사람들이 신념을 갖게 되는 경우 그 신념으로 행동이 영향을 받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이 현상은 사람들이 어떤 현상과 결과에 대해 사회적 지식을 가지고 있는데 이로 인해 결과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현상을 개발하기 시작한 것은 미국 심리학자 중 Wl Thomas와 Dorothy Swaine Thomas 였는데 이 현상을 조사한 최초 .. 2023. 1. 1.
머피의 법칙 Murphy's law 머피의 법칙은 세차하면 비가 온다거나, 내가 건널목에 갈 경우 빨간불이라던가 , 심지어 이런 머피의 법칙을 피해보기 위해 횡단보도에서 하얀색만 밟으며 건너거나 하는 생각을 가지기도 합니다. 머피는 미국 공군기지에서 일하던 에드워드 머피가 1949년 주장한 법칙이고, 심리학 용어입니다. 그렇다면 머피의 법칙에 대해 더 정확히 알아봅시다. 머피의 법칙은 새로 만든 중력 한계를 실험하는 음속기를 개발하던 중 측정장치를 설치하였는데, 부하가 자신이 설계한 전극봉을 모두 잘못 조립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실험값은 모두 0이 나왔고, 머피는 어떤 일을 할 때 여러 방법 중 한 가지 방법은 실패를 만들 수 있고, 누군가는 꼭 그 한 가지 방법을 쓰게 되어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어 이런 법칙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 2023. 1. 1.
나르시시즘 narcissism 나르시시즘은 자기애적 성격장애 중 하나로 이상주의에 사로잡혀 다른 사람을 희생하며 자기의 외모, 이미지 등에 과도한 관심과 집착을 갖고 자신의 필요에 지나친 몰두로 자기 중심적 성격 스타일을 의미합니다. 자신읠 이상화시켜 자기애를 조작하는 증상으로 그리스 로마 신화의 나르키소스에서 유래된 신화적 용어입니다. 나르시시즘은 건강한 정도의 나르시즘부터 지나치게 자신에게 도취하여 병적인 수준에 이르는 극단적 나르시시즘 또한 있습니다. 나르시시즘은 적어도 누구나 한 번쯤 생각할 정도로 일말의 나르시시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나르시시즘이 겉으로 드러날 경우 허영심과 현학적 태도를 취하며 남의 험담을 들을 수도 있으며 공주병, 왕자병과 같은 도끼병이라는 말을 들을 수 있습니다. 가벼울 경우 타인에게 조금 불쾌감을 .. 2023. 1. 1.
깨진 유리창 이론 Broken Window Theory 깨진 유리창 이론이란 어떤 한가지 현상을 방치하면 그 지점을 중심으로 범죄가 확산하기 시작한다는 뜻이다. 사소한 무질서를 방치하게 되면 나중에 전 지역에 범죄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로 미국 범죄학자인 젬이스 윌슨과 조지 켈링이 1982년 3월에 공동 발표한 글에 소개된 무질서 이론이다. 저자들은 사실 이를 한 건물 유리창이 깨진 채로 방치된 다면 다른 유리창도 곧 깨질 것이라는 것이고, 이는 사회심리학자와 경찰들이 동의하곤 한다. 이런 경향은 잘 사는 동네건 못사는 동네건 똑같이 발생한다. 깨진 유리창은 아무도 신경을 쓰지 않는 다는 의미이고, 이렇게 신경쓰지 않는 유리창이 있다면 더 많은 유리창이 깨져도 아무 부담없이 신경쓰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대표적으로 사람들이 아무곳에 쓰레기를.. 2023. 1. 1.
게슈탈트 붕괴 Gestaltzerfall와 관련된 이야기 게슈탈트 붕괴의 게슈탈트는 독일어로 부터 왔다. 독일어로 Gestaltzerfall로 Gestalt는 독일어로 '형태'를 의미한다. 즉 형태 붕괴, 형상붕괴를 의미하지만, 실제 이런 합성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사실 이 용어는 심리학 상 학술용어는 아니고, 일본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만들어낸 은어이자 신조어이다. 이는 일본에 인터넷이 보급되기 시작할 때 유행하던 같은 이름의 도시전설 괴담에서 시작됐다. 그렇다면 도시전설이란 무엇일까? 먼저 도시전설은 거울에 대고 '너는 누구야?'라고 수개월간 물으면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 잊는 것이 아니고, 자신의 눈과 코, 입, 귀 등 특정 부위를 뚫어져라 쳐다보며 마치 내가 내가 아닌 것과 같이 낯설게 느껴지는 것이다. 이는 정신 분열 증상으로 보는 이도 있으나 이는 후술.. 2023. 1. 1.
반응형